알파벳(GOOG/GOOGL)의 2024년 4분기 실적 결과와 향후 전망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633823_6ab4f4e9bba54b36a3f21d87732814fe~mv2.png/v1/fill/w_980,h_238,al_c,q_85,usm_0.66_1.00_0.01,enc_auto/633823_6ab4f4e9bba54b36a3f21d87732814fe~mv2.png)
출처: 회사 홈페이지
2024년 4분기 실적 결과
분기 매출: $96.47B 달러 (전년 동기 대비 +11.8% 증가, 예상치 $96.56B소폭 하회)
조정 주당순이익(EPS): $2.15 (시장예상치 $2.12 상회)
순이익: $26.54B 달러 (전년 동기 대비 +28.3% 증가)
영업이익: $30.97B 달러 (전년 동기 대비 30.7% 증가)
영업이익률: 32% (전년 동기 대비 5%p 확대)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633823_d378f1c81022441cb9fff542dfa64931~mv2.jpg/v1/fill/w_980,h_1393,al_c,q_85,usm_0.66_1.00_0.01,enc_auto/633823_d378f1c81022441cb9fff542dfa64931~mv2.jpg)
출처: 알파스트릿
부문별 성과 (단위: B)
부문 | 4Q24 실적 | YoY 변화 | 주요 성장 동력 |
Google Search | 54.03 | +13% | AI 검색 개선 |
YouTube 광고 | 10.5 | +14% | Shorts 확대 |
Google Cloud | 11.96 | +30% | AI 인프라 수요 |
기타 서비스 | 8.11 | +8% | 구독 서비스 성장 |
주요 지표 분석
광고 사업 회복: 전체 광고 매출 $72.5B로 전년 동기 대비 +11%성장
클라우드 성장: 약 30%이상 성장했으나 시장 기대치($12.19B) 미달
AI 투자 가속화:
제미나이(Gemini )AI 모델 상용화 확대
2025년 자본지출 $75B 계획 (예상치 58.8B 달러 대비 약 +27% 초과)
향후 전망
2025년 1분기 매출 전망: 회사 측에서 구체적인 가이던스를 제시하지 않음
클라우드 성장률: 31-32% 예상 (전분기 30% 유지)
AI 투자 집중: 데이터센터 구축 및 반도체 자체 개발 가속화
어닝콜 주요 내용
순다르 피차이 CEO:
"AI Overviews·Circle to Search 등 혁신으로 검색 점유율 강화 중"
"클라우드+유튜브(Cloud·YouTube) 연간 매출 $110B달성, AI 생태계 구축 성과"
CFO 루스 포랫:
"AI 투자로 2025년 영업이익률 30%대 유지 목표"
"딥시크(DeepSeek) 등 중국 AI 스타트업 경쟁력 주시 중"
시장 반응
주가 급락: 분기 실적 발표 후 시간외 거래에서 -6-7%하락 중
애널리스트 평가:
목표주가 평균 $219 (현재가 대비 14% 상승 여력)
제프리스·BofA "AI 선점 효과로 장기 성장 가능성 유효"
리스크 요인
과도한 AI 투자 부담: 2025년 예상 FCF 대비 capex 비중 70% 육박
중국 AI 기업 도전: DeepSeek의 저비용 고효율 모델 확산 가능성
규제 압력: EU 디지털시장법(DMA) 적용으로 서비스 개편 필요성
중국 정부의 반독점 조사: 미국의 새로운 관세에 대한 대응으로 시작
베가스풍류객의 생각
알파벳은 AI 선도적 투자로 장기 경쟁력 강화 중이지만, 단기적으로는 클라우드 성장 둔화+과도한 자본지출 부담이 주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
향후 2025년 핵심 관전 포인트는 다음과 같음
AI 상용화 속도: 제미나이(Gemini) 모델의 검색·클라우드 통합 효과
클라우드 마진 개선: GCP 수익성 확보를 통한 투자 효율화
광고 시장 회복 지속성: 유튜브 숏츠 매출 전환율 향상
규제 대응: 글로벌 반독점 압력에 대한 효과적 대응 능력
많은 애널리스트들은 현재 알파벳 주가가 인공지능(AI) 성장 잠재력을 완전히 반영하지 못했다고 평가하고 있으며, 단기적인 변동성은 있으나 12개월 목표주가 $219 전망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
투자 전략으로는 AI 수혜주로서 포지셔닝 유지를 해야 할 것이며 광고 의존적인 사업 구조에서 인공지능 플랫폼을 통한 수익 창출이 올해 주가 상승의 핵심일 것이라고 판단
보통주 기준으로 주당 $190이하에서 저가 매수 기회로 접근할 만한 가치매매 구간으로 판단
엔비디아 제품 지속적으로 구매의사를 밝히는 뉘앙스인 $75B투자(마소가 $80B)언급을 통해 엔비디아의 2025년 실적은 모건스탠리가 언급했던 엔비디아 고사양 GPU판매부진의가정은 지나치다고 판단
Comments